본문 바로가기
USEFUL

(대 · 알 · 못) 대출금리를 잘 알아야 대출이 쉬워진다

by BATULA 2024. 1. 19.
728x90
반응형

내가 대출을 알아볼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을 못했었는데.. 세상이 각박해지니 대출도 알아보는 날이 오는군요! 현실에 내던져지는 기분! 대출은 상황에 따라, 내 사정에 따라 받는 것도 천차만별인듯한데, 대출금리가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대출금리에 대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대출금리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대출금리는 각 자금조달금리[각주:1] 각종 원가요소와 마진 등을 반영하여 자율적으로 산정한다. 여신 실행 이후 대출 금리는 기준금리의 변동과 거래실적(부수거래 감면금리) 등을 반영하여 변경된다. 향후 발생할 대출금리 변동 적용 기준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대출약정서 등에는 일반적으로 잔액기준 COFIX + 1.3%, CD 금리 + 1.7% 와 같이 대출 기준금리[각주:2] 와 가산금리[각주:3] 의 합으로 대출금리가 표시되고 있다.

(1)
기준
금리
(2) 가산금리 (개인의 신용도에 따라 결정되는 금리)
리스크 관리비용 원가 법적비용 기타 가감조정 전결금리
리스크
프리미엄
유동성
프리미엄
신용
프리미엄
자본
비용
업무
원가
법정
출연료 등
기대
이익률
부수거래
감면금리
본부
조정금리

 

 

대출금리의 종류

대출금리는 고정금리, 변동금리, 혼합금리 3가지가 있다.

 

고정금리 : 기간에 상관없이 한 번 책정된 금리가 유지된다. 시장금리 상승기에 금리 인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대출기간 중 월이자액이 같아서 상환계획 수립에 용이하다. 그러나 반대로 시장금리가 하락시기 일 때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럴 때는 변동금리보다 불리하다. 통상 대출 시점에는 변동금리보다 금리가 높은 편이다.

 

변동금리 : 일정 주기 (3/6/12개월 등)마다 대출 기준금리의 변동에 따라 금리가 변동된다. 시장금리 하락기에는 이자 부담 경감이 가능하다. 대출 시점에는 고정금리 방식보다 금리가 낮은편이다. 대신 시장 금리가 상승되면 같이 상승되는 슬픈 매직 

 

혼합금리 : 고정금리 + 변동금리 방식이 결합되어 있다. 일정기간 고정금리로 진행 후 그 이후에 변동금리 적용한다. 금융 소비자에 자금 계획에 맞추어 운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될 때는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 반대로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고 예상될 때는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이자를 절약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대출금리를 한 번에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 대출금리비교로 들어가면 내가 원하는 은행, 대출종류 선택해서 비교해볼수가 있다.

 

대출 너무 어렵다 ㅠ_ㅠ

  1. 대출 시 은행이 필요한 자금을 시장에서 신규로 조달할 때 지불해야 하는 금리(시장금리)를 의미한다. 대출 기준 금리와 자금조달금리가 상이하여 대출 기준금리가 변동하더라도 자금조달금리가 동일하다면 여신 실행 시 대출금리는 이론적으론 영향이 없다. 반면, 이미 실행된 여신의 대출금리는 금리변동주기 도래 시 대출 기준금리의 변동을 반영하여 조정된다. [본문으로]
  2. 변동금리대출의 대출금리 변동 시 기준이 되는 금리이다. 은행은 COFIX(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 금융채·CD(단기대출의 기준금리) 금리 등 공표되는 금리를 대출 기준금리로 사용하고 있다. [본문으로]
  3. 대출 기준금리와 더불어 대출금리를 구성하는 리스크 프리미엄, 유동성 프리미엄, 신용 프리미엄, 자본비용, 업무원가, 법적비용, 기대이익률, 가감조정 전결금리 등을 의미한다. (리스크 프리미엄 : 자금조달금리와 대출 기준금리 간 차이 등 / 유동성 : 자금재조달의 불확실성에 따른 유동성리스크 관리비용 등 / 신용 : 고객의 신용등급, 담보 종류 등에 따른 평균 예상 손실비용 등 / 자본비용 : 예상치 못한 손실에 대비하여 보유해야 하는 필요자본의 기회비용 등 / 업무원가 : 대출취급에 따른 은행 인건비 등 / 법적 비용 : 보증 기관 출연료와 교육세 등 각종 세금 / 기대이익률 : 은행이 기대이익 확보를 위해 설정한 수익률 / 가감조정 전결금리 : 부수거래 감면금리, 은행 전결 조정 금리 등)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